나라 시대에 세워진 사찰로 한반도에서 건너간 도래인들이 건축을 주도하였다고 한다. 큰 청동 불상이 있는 대불전이 유명한데, 일본 최대의 목조 건축물이라고 한다. 한 때, 세계에서 가장 큰 목조 건축물이기도 하였는데 그 기록은 현대의 기술로 만들어진 건물로 깨어지게 된 것.
지금의 대불전은 세번째로 지어진 것이고, 앞선 두 개의 대불전은 화재로 소실되었는데 대불전 내부에 과거 도다이지의 모형이 있다. 다른 절들과는 다르게 사진 촬영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대불전 내부에 구멍이 뚫린 기둥이 있는데 거기를 통과하면 행운이 온다는 속설이 있다. 다만 통과할려고 하면 구경거리가 된 듯 주변에서 굉장히 많은 시선을 느끼게 됨.
대불전과 박물관의 입장료는 각각 800엔이고 통합 입장권은 1200엔. 입장료는 현금으로만 지불 가능하나, 내부에서 판매하는 기념품은 카드 결제가 가능하다.
대불전 만이 아니라 정문의 역할을 하는 남대문도 정말 크고, 양옆의 금강역사상도 정말 크다. 남대문은 날것 그대로의 목재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데 단청도 칠하면 좋을듯 하다.
대불전을 나와서 언덕을 좀 오르다보면 이월당으로 갈 수 있는데, 난간에서 도다이지와 나라 시내를 볼 수 있다. 높이가 그렇게 높지 않아 전망대로서는 좀 별로인듯 한데, 해가 질 때 노을을 보기 좋다고 한다.
도다이지 안에 거대한 철불이 있다. 도다이지 건물도 웅장하고 4월에 가니 주변 경치도 예뻤다. 도다이지 건물 오른쪽 편에 빨간 천을 두르고 있는 특이하게 생긴 목조 불상이 앉아 있다. 도다이지 전각에 들어가서 철불을 보려면 입장료 800엔을 내야 한다. 철불 관람과 도다이지 뮤지엄 관람을 통합한 '통합 입장권'은 1,200엔으로 비싸게 팔기 때문에, 잘 확인해서 구매해야 된다. 고후쿠지 '동금당' 입장료가 500엔이고, 간고지 입장료가 700엔인데, 그것에 비하면 도다이지 철불 800엔이 훨씬 낫다. 나는 호류지 대보장원, 나라국립박물관 등을 관람했기 때문에 도다이지 뮤지엄 관람은 할 필요 없었다. 도다이지에서 나와 오른쪽으로 쭉 올라가면 도다이지 종루, 도다이지 니가츠도(이월당), 산가츠도(삼월당) 등 건물이 있는데 그 건물도 예쁘다. 도다이지 니가츠도는 높은 곳에 위치하고 건물 2층까지 올라갈 수 있는데 올라가면 멀리까지 다 보인다.
개인적으로 법당안에서 나는 사찰 특유의 향 냄새가 좋습니다.
관광객이 많았지만 사찰안이 크기 때문에 편하게 관광하고 왔습니다.
체형이 마른 사람이라면 기둥에 있는 작은 구멍통과에 도전해 보세요.
가장 큰 목조건물로 올라가 있는 건물.
긴테쓰 나라역에서 걸어서 15분 정도 걸린다.
크로 아름다운 건물과 불상, 그리고 수 없이 많은 서양 관광객들을
볼 수 있다.
도다이지 자체보다는 근처에 있는 사찰도 볼만하다.
역에서 조금만 가면 나오는 공원부터 사슴들이 있는데 아무거나 주면 안된다. 도다이지 근처에 가면 사슴먹이용 센베를 따로 파니 주고 싶은 분들은 그걸 사서 먹을 것.
아래는 도다이지 나무위키 내용
1. 개요
도다이지(東大寺とうだいじ) 혹은 동대사는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사찰이며, 일본 화엄종(華厳宗)의 대본산이다.
일본의 호국불교를 상징한다.한국에서는 '동대사'란 이름으로 유명하다. 일본 최대의 목조 건축물인 대불전(大仏殿/다이부쓰덴)과 최대의 청동 불상, 그리고 거대한 정문인 남대문(南大門/난다이몬)으로 이루어져 있다.그 밖에 자체적인 박물관 및 대불전 뒤편과 동•서편으로 이월당, 삼월당, 계단당 등 여러 가지 부속건물이 있는데, 이 건물들도 대부분 국보나 중요문화재이고, 일부는 특별한 기간이 아니면 공개하지 않고 있다. 크기에서 비견될 만한 건물로는 교토 히가시혼간지에 있는 고에이도가 있다.
나라현 공식 홈페이지의 설명에 따르면 도다이지 건축에 있어, 신라계 도래인 목수가 총감독을 맡았고, 거대한 청동 불상은 백제계 도래인이 디자인했으며, 사자 석상의 경우 중국 남조 유송 출신 석장이 작업했다고 한다.
2. 대불전 안의 볼거리
대불전 안에는 높이 14.98m에 무게 452 t인 청동 비로자나불이 있다. 청동 대불 역시 여러 번 화재 등으로 부분이 녹거나 파괴되어 다시 제작되었지만, 상당한 크기기 때문에 일부분은 남아 이어져 왔다.
현재의 대불은 1691년에 완성된 것으로,[18] 불상의 하부는 처음 만들어졌던 부분이 남아 있다고 한다. 특히 불상이 앉은 연꽃 대좌에는 창건 당시 법화경의 내용을 새긴 그림이 그대로 남아 있다. 거대한 손바닥에는 성인 16명이 올라갈 정도라고 한다.
그 외에도 대불의 좌우에 허공장보살과 여의륜관음을, 대불 뒷편으로는 광목천왕상과 다문천왕상을 모셨다. 남대문에는 가마쿠라 막부 시대에 만들어진 금강역사 입상이 2좌가 있다. 또 대불전의 명물로 구멍이 뚫린 기둥이 있는데, 이 구멍을 통과하면 1년치 액땜을 한다는 소문이 있다. 그래서 다들 시도해보지만. 아이나 몸이 작은 여자가 아니면 힘들다는 얘기가 있지만, 실제로는 약간 과체중의 성인 남성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조금 뚱뚱해 보인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거짓말처럼 쑤욱 까진 아니고 조금 힘들게나마 빠져나오긴 한다. 보통 체격의 성인이 들어가면 들어가면서 다리가 움직일 여유의 공간이 사라지면서 팔 힘으로 빠져나와야 한다. 따라서 팔 힘이 보통 이하라면 상대방이 반대편에 서서 팔을 당겨줘야 간신히 빠져나올 수 있다. 들어가고 누군가의 도움 없이 스스로 나오기에는 체력이 받쳐 주지 않고서는 힘들다. 유튜브에서도 보면 반은 상대방이 반대편에 서서 팔을 당겨줘서 나온다. 참고로 구멍의 크기가 대불의 콧구멍 크기라는 이야기가 있다.
대불전 앞마당에는 청동 등이 하나 서 있는데, 대개 모르고 지나가지만 국보다. 도다이지에서 몇 안 되는 나라 시대 창건 당시의 유물이다. 조각이 아름답고 글씨도 새겨져 있으니 유심히 보고 가자. 그 밖에 중문, 좌우 회랑, 대불전 좌우의 불상 모두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3. 정창원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정창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일본 황실의 보물 창고다. 동아시아ㆍ동남아 유물들이 많이 발견되었으며, 그중에서 특히 한국에서 유명한 게 고등학교 한국사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 다뤄지는 통일신라의 민정문서다.
4. 그 외
대불전 동쪽으로 올라가면 이월당(二月堂, 니가쓰도)와 삼월당(三月堂, 산가쓰도)가 나온다. 이월당은 대불의 개안공양이 이루어진 752년부터 창건되었고, 십일면관음을 본존으로 모시고 있는데 이 불상은 지금까지 단 한 번도 공개된 적이 없는 비불이다. 법화당(法華堂, 홋케도)이라고도 불리는 삼월당은 도다이지의 전신가람인 긴쇼지의 견색당(羂索院)으로, 불공견색관음을 본존으로 모시고 있다. 그 외에도 범천, 제석천 등 16개에 달하는 불상을 모시고 있었는데, 일부는 도다이지박물관이 개관하면서 옮겨졌다가 2014년에 공사가 완료되어 다시 삼월당으로 옮겨졌다.
도다이지를 잘 모르는 방문자들은 대불전만 보고 나가버리는데, 이월당과 삼월당도 중요한 건물이며,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곳이므로 한 번 방문하는 것이 좋다. 특히 이월당에 올라가서 내려다보는 도다이지와 나라 시내의 모습은 인상적이다. 건물 자체뿐만 아니라 전망대이기도 하다.

입장료가 상당하지만, 그만큼 볼거리는 많습니다. 일본 불교 문화의 총본산인만큼, 다양한 불교 양식 건축물과 동상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신사 밖에는 사슴이 자연스럽게 인간과 어우러져 돌아다니고 있고, 곳곳에서 사슴 전병을 판매하고 있어, 사슴 구경 하는 것도 또 하나의 재미 포인트인 것 같습니다.